The effect of pamidronate on osteopenia and osteoporosis caused by therapy for childhood leukemia and lymphoma

The effect of pamidronate on osteopenia and osteoporosis caused by therapy for childhood leukemia and lymphoma

The effect of pamidronate on osteopenia and osteoporosis caused by therapy for childhood leukemia and lymphoma

(구연):
Release Date : 2009. 10. 24(토)
Jae Min Lee, Sun Hwan Bae, Jeong Ok Hah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Daegu, Korea
이재민, 배순환, 하정옥
영남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과

Abstract

목적: 소아 백혈병과 림프종 환자는 스테로이드를 포함하는 항암화학요법을 받은 후 골감소증과 골다공증이 후기에 발생하는 합병증으로 주목받고 있다. Pamidronate는 2세대 bisphosphonate 제제로써 oteoclast 를 억제하며 골밀도를 증가시킨다. 이에 저자들은 소아 백혈병과 림프종 환자에서 치료 중 혹은 치료 후에 발생한 골감소증과 골다공증을 pamidronate로 치료한 효과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대상 및 방법: 영남대학교 병원에서 진단, 치료받은 백혈병과 림프종 환자를, pamidronate 치료를 하지 않은 2003년 12월부터 2006년 5월까지 진단받은 환자군(I군)과 pamidronate 치료를 시작한 2006년 6월부터 2008년 12월까지 진단받은 환자군(II군)으로 나누어, 무혈성골괴사의 발생빈도를 비교하였다. 또 두 군에서 치료 중이거나 치료종결 후 추적관찰 중인 환자를 대상으로 골밀도검사를 시행하여 근골격계 증상이 있는 골감소증 환자(-2.5 Z-score -1.0)와 골다공증 환자(Z-score -2.5)를 대상으로 pamidronate 치료를 시행하였다. Pamidronate는 1mg/kg을 3일간 정주, 1달 간격으로 치료하였고, 6개월 간격으로 골밀도검사를 시행하여 Z-score변화를 관찰하였다. 결과: I군은 39명이었고, 백혈병과 림프종은 각각 32명, 7명이었으며, 이들 중 20명에서 골밀도 검사를 시행하여 골감소증이 6명(30%), 골다공증이 13명(65%)에서 진단되었으며, 이들 중 4명(12.1%)에서 무혈성골괴사가 발생하였다. II군은 33명이었으며, 백혈병과 림프종은 각각 25명, 8명이었고, 이들 중 20명에서 골밀도 검사를 시행하여 골감소증이 5명(25%), 골다공증이 11명(55%)에서 진단되었으며, 이들 중 무혈성골괴사가 발생한 환자는 없었다. Pamidronate로 치료받은 환자는 27명(I군; 14명, II군; 13명)이었다. 원질환의 진단 당시의 나이는 8.2± 4.0세였고 pamidronate 치료 시작 당시의 나이는 10.8±4.1세였다. 골감소증은 4명, 골다공증은 23명이었다. 골감소증 또는 골다공증과 관련된 증상과 질환은 근골격계 통증이 23명, 대퇴골의 무혈성 괴사가 4명에서 있었다. Pamidronate 치료 후 6개월, 12개월, 18개월 후의 골밀도 검사에서 좌, 우측 대퇴골과 요추의 Z-score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P0.05). 24개월간 치료받은 1명에서도 소폭의 골밀도상승이 관찰되었다. Pamidronate 치료 중 부작용은 3명에서 발생하였으며, 발열이 3건, 저칼슘혈증이 1건, 요통이 1건 발생하였으나, 대증적 치료와 경구 칼슘제제 복용 후 호전되었다. 결론: 소아 백혈병과 림프종의 치료에 스테로이드를 포함하는 항암화학요법을 사용함에 따라 골밀도 감소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으며, 이들에게 발생한 골감소증과 골다공증에 pamidronate가 부작용이 적으며 효과적인 치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 osteoporosis, bisphosphonate, childhood cancer